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ODEX 미국 반도체 MV - 글로벌 반도체 선도 기업 비중이 높은 ETF

by 돈잣말 2023. 12. 30.

IRP 계좌에서 글로벌 반도체에 투자하고 싶어 정찰병으로 사둔 KODEX 미국 반도체 MV의 기초 정보와 투자 아이디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썸네일

 

 1. 왜 반도체, 그중 글로벌 반도체 ETF인가  

2023년도 Chat GPT 등의 AI 서비스가 새롭게 떠오르면서 AI에 최적화된 반도체를 만드는 엔비디아 주가가 폭등했다. 그때 엔비디아와 반도체 섹터에 뜨거운 관심이 쏠렸는데, 이때 또 나만 없었다. FOMO까진 아닌데 내가 게을러서 공부를 안 한건 내 탓을 해야 한다.

 

반도체에 대해서 잘 아는 것도 아니고, 그 산업군에서 일하는 것도 아닌데 단순 엔비디아 때문에 소외감을 느꼈냐, 그건 아니다. 아침에 출근할 때나 이동할 때 경제 팟캐스트를 듣는데, 반도체 얘기를 맨날 하길래 이 섹터만큼은 자동으로 관심을 갖고 트래킹을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반도체는 모든 전자기기에 들어가니까 앞으로도 계속 필요하고 발전하겠지 싶었다. 

 

우리나라도 반도체 기업이 많은데 왜 글로벌 반도체 ETF를 선택했냐면 IRP 계좌에서는 해외 ETF에 투자하는 것이 세제 혜택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런저런 이유로 공부가 부족했던 과거를 청산하기 위해 글로벌 반도체 ETF를 관심을 갖고 지켜보기로 했다. 그날로 미국 반도체 ETF인 KODEX 미국반도체 MV를 귀여운 수량으로 샀다. 

 

글로벌 반도체 ETF

 

 2. KODEX 미국 반도체 MV ETF의 기초 정보  

기초 지수:  MVIS US Listed Semiconductor 25 Index

KODEX 미국 반도체 MV의 기초 지수는 MV Index Solutions가 산출, 발표하는 지수로서 미국 상장 글로벌 반도체 대표기업 25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도체 혹은 반도체 장비 관련 사업 매출 비중이 50% 이상인 기업의 풀 안에서 유동시총과 일평균거래량을 고려하여 25 종목을 선정하는 지수다. 구성종목 비중은 유동시총 가중방식으로 결정하며 20% 상한이 있고, 연 2회(3월과 9월) 지수 정기 변경이 있다. 

 

상품 설명에 따르면 이 지수는 VanEck Vecotors Semiconductor (SMH ETF)의 기초 지수와 동일하다. 

 

시가총액

1,226억 원 (2023년 12월 29일 기준)

 

총 보수

상품 설명에 고지된 총보수는 0.090%이지만, TER과 매매중개수수료까지 고려하면 0.2319%이다.

 

분배금

매년 1, 4, 7, 10월 마지막 영업일을 기준으로 분배금을 지급하는데, 2021년 6월 30일 상장 이후 작년 4월부터 지금까지 총 3번을 지급했나 보다. 지금까지 지급된 분배금은 주당 30원이다. 

 

환노출/환헷지 여부

환노출

 

 3. KODEX 미국 반도체 MV ETF를 통해 투자하는 기업들  

구성 종목과 비중

KODEX 미국 반도체 MV ETF에 투자를 한다는 것은 엔비디아, ASML, 인텔 등 미국에 상장된 대형 반도체 기업에 투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팹리스, 파운드리, 메모리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등 반도체 산업 전반에 투자를 하는 것이다.

 

위의 글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종목 구성은 시총 가중 방식이며 20%의 상한이 있다. 이는 즉, 시장을 주도하는 대형주의 비중이 높되 그 비중은 최대 20%를 넘지 않는다는 뜻이다.

 

KODEX 미국 반도체 MV ETF 구성종목
출처: ETF Check (2023년 12월 29일 기준)

 

 

현재를 기준으로는 시총이 높은 엔비디아의 성과에 이 ETF의 수익률의 명운이 크게 걸려있는 상황이다. 나중에 다른 반도체 기업이 성장해서 비중이 커진다면 구성 비중 순위가 바뀔 수 있다. 이처럼 KODEX 미국 반도체 MV처럼 유동 시총 가중 방식을 채택하는 ETF는 섹터 전반에 투자를 하면서도 주도하는 기업의 기대 수익률을 동일 비중의 ETF에 비해 크게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니까 엔비디아가 오르기 전에 샀으면 기분이 좋았을 것이라는 뜻이다. 그게 나는 아니지만.

 

수익률

이 수익률 그래프는 이 ETF의 상장일 2021년 6월 30일에 투자했을 눈물의 구간을 거쳐 2023년 12월 말 기준 57.4%의 수익률을 거뒀을 것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투자 수익률은 내가 언제, 얼마에 사느냐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익률은 개인차가 있을 수 있다. 현재 내 정찰병 수익률은 10.14%인 것처럼 말이다. 나는 10월 초부터 두 번에 거쳐 샀다. 총 15주 사면서 ㅋㅋㅋ

 

KODEX 미국 반도체 MV 수익률
출처: ETF Check

 

이 수익률 그래프를 보면서 다른 건 잘 모르지만 어디서 보고 들은 반도체 2년 주기설이 이건가 싶다.

 

 4. 결론  

KODEX 미국 반도체 MV ETF는 미국 상장된 반도체 기업 중 산업을 주도하는 상위 기업, 그중에서도 대형주 위주로 비중을 크게 투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교적 투자자가 부담해야 할 수수료가 낮은 ETF 상품이다. 비중이 높은 대형주가 성장할 때 그 수익률을 누릴 수 있고, 반대로 대형주의 주가가 빠지면 그만큼 크게 수익에 반영된다는 것이다. 지금은 엔비디아지만 다음엔 어디일까. 

 

 

IRP 계좌에서 이 ETF를 소량 담은 이유는, 지수 투자 비중이 높은 IRP 계좌에서 공부도 하면서 시세 차익으로 인한 수익률로 얻어보려는 목적이었다. 보수율이 낮고 분배금도 주는 데다가 시세 차익까지 얻을 수 있어서 계속 모아가고 싶지만, 엔비디아의 비중이 18%나 되는 만큼, 반도체 산업뿐만 아니라 이 기업과 주식에 대한 공부가 선행되어야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 같다.